지난 9, 독일 대학병원에서 수술 예정이었던 환자가 랜섬웨어 공격으로 병원시스템이 마비 되면서, 수술을 제때 받지 못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랜섬웨어 공격으로 환자가 사망한 첫번째 사례로 기록되었습니다.

 

COVID-19으로 인한 팬데믹 이후 사이버 보안위협은 크게 증가(71%) 하였으며, 특히 금전적인 이익을 챙길 있는 랜섬웨어 공격은 상반기 대비 50% 증가하였습니다.  또한, 최근 랜섬웨어 공격은 보안이 상대적으로 약한 의료기관을 주요 표적으로 삼고있습니다 (2분기 2.3%에서 3분기 4% 1.7%p 증가).

 Source: 체크포인트 & 디멘셔널 리서치, ”코로나 바이러스가 기업 보안에 미치는 영향“, 6 3

 

의료기관은 의료정보 진단결과, 질병관리, 영상정보 처리 등을 위한 EMR, OCS, PACS 시스템 활용도 증가와 기존 폐쇄망의 개방에 따라, IT  보안위협은 물론, 의료기기의 랜섬웨어 공격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랜섬웨어 공격에 대한 모니터링, 분석, 탐지, 차단 예방시스템과 시스템의 이중화와 백업 등을 통한 대응 시스템 구축에는 막대한 자원(예산, 인력 ) 필요하며, 이는 과도한 투자일 것입니다. 적정한 보안솔루션을 도입하는 외에, 랜섬웨어 공격을 효과적으로 예방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랜섬웨어 공격 모의 훈련 (Table-top exercise) 통한 인식제고

의료기관은 랜섬웨어 공격의 원인이되는 이메일 피싱 훈련을 통해, 임직원의 보안인식을 높이고, 랜섬웨어 공격 발생시 시스템 데이터 백업복구 등을 통해 서비스 다운타임(Downtime) 최소화하는 훈련을 실시합니다.

 

시스템 #보안패치를 통한 사이버 공격에 대한 면역력 강화

해커들은 상대적으로 시간과 노력이 들면서, 성공 가능성이 높은 알려진 보안취약점(CVE) 사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운영중인 시스템에 대한 보안패치를 함으로써, 알려진 취약점을 차단하고 공격에 대응할 있습니다.

 

얼마전, 미국 재무부는 북한 해킹그룹 제재 대상에게 랜섬웨어 몸값을 지불하는 것은 국가안보 이익을 위협하는 행위라고 경고한바 있습니다. 보안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랜섬웨어 몸값이 지불되는 현상이 위협을 더욱 키고 있다고 보고,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 랜섬웨어 몸값을 지불하지 못하도록 하는 규제가 필요하다는 입장도 있습니다.

 

지난 여년의 과거를 돌아 보면, 개인정보의 오·남용을 통한 금전적 이득을 차단함으로써,  개인정보 침해사고를 줄여왔던 사례를 떠올리게 됩니다.

Posted by Cappuccino sapiens

지난 2019년 한해는 클라우드 보안에 있어 정말 험난한 한해였으며, 서비스 측면에서 중대한 변화가 요구되는 시기였습니다. 최근 가트너는 클라우드 보안에 대한 재평가를 통해고객의 실수로 인한 클라우드 보안장애가 99%에 달할 것이다.“ 라고 경고한 바 있습니다. 이는 조금 과장되었기도 하지만, 클라우드가 미래 경제의 핵심이라는 부정할 수 없는 상황에서, 클라우드 보안은 진일보적인 기술로의 진화를 견고히 하기 위한 필수 요소임을 강조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데이터는 과거의 그 어느 때보다도 많이 축적되어 가고 있으며, 클라우드는 이러한 데이터의 무한한 증가를 부축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의 증가로 인해 보안 이벤트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이는 기존의 보안기술로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임을 깨닫게 합니다.

 

가트너는 이러한 현상에 대해퍼블릭 클라우드 사용을 통제하지 못하는 조직 중 90%는 민감한 데이터를 부적절하게 다루고 있다“ 고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불행히도 이러한 회사들은 자사 브렌드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주게 될 것이며, 법적인 책임 또한 무겁게 짊어지게 될 것입니다.

 

국제적으로 데이터의 중요성과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짐에 따라, 각 정부는 시민들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법적인 규제를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가 모여있는 클라우드 보안은 필연적인 과제이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문제를 도출하고 해결방안에 대해 고민이 필요합니다. 우선적으로 지난 보안사고를 되짚어 보고, 어떻게 해결 했는지에 대한 모범사례에 대해 학습할 필요가 있습니다.

 

지난해 발생한 대표적인 5가지 보안사고는 아래와 같으며, 각 보안사고에 대해 어떻게 대응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4 2, 페이스북 (Cultura Colectiva)

   - 침해 규모: 540,000 레코드 (146 GB)

  2. 4 25, Docker Hub

   - 침해 규모: 190,000 accounts

  3. 5 20, Instagram (Chtrbox)

   - 침해 규모: 49 백만 레코드

  4. 7 29, Capital One

   - 침해 규모: 8만 은행 계좌, 1백만 이상 정부ID

  5. 9 13, Autoclerk

   - 침해 규모: 10만 명의 예약자 정보( 179 GB)

 

원문: The Biggest Cloud Breaches of 2019 and How to Avoid them for 2020

Posted by Cappuccino sapiens
이전버튼 1 이전버튼

블로그 이미지
생각의 전환
Cappuccino sapiens

공지사항

Yesterday
Today
Total

달력

 « |  » 2025.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