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유럽, 북미에서 유행하던 잭팟팅, 벨기에에서도 처음 발생

코로나 때문에 활성화 재택 근무, 제로 트러스트 도입 촉진한다

"마그네틱카드로 복제해 있는 IC 카드 존재"

[긴급]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계정 가진 이용자 타깃 공격 출현

[긴급] ‘견적의뢰서발주서이메일 왔다고? 포털 계정탈취 노린피싱공격

미라이 봇넷 멀웨어의 변종, 콤트렌드 라우터 공격해

미국 비밀 경호국, 해커 잡는 부서와 금융 사기 방지 부서 합쳤다

미국, 러시아 회사 타깃으로 사이버 공격 수행 인정

정부, 1조원 들여 '비대면 서비스 보안' 키운다 

[기로에 은행] 편하게 쉽게

포스트코로나시대, 어떤 변화가 것인가

[기고] 비즈니스 연속성을 위한 데이터 보호

17-Year-Old Critical 'Wormable' RCE Vulnerability Impacts Windows DNS Servers

Posted by Cappuccino sapiens

빠르게 변하는 인터넷 속도와 IT환경으로 인해, IT시스템 또한 빠르게 교체되어 가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모든 시스템을 일시에 교체할 수 만은 없는 실정이다 보니, 기존 시스템과 최첨단 시스템이 공존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레거시 시스템은 보안정책의 통제에서 벗어난 쉐도우 IT가 되거나,  SSO, MFA 등 새로운 보안기술을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H/W 또는 S/W로 인해 개선된 보안정책 적용이 곤란한 경우도 있습니다. 이로 인한 보안헛점은 해킹 및 데이터 유출 등 조직의 보안위협의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레거시 시스템은 교체되기 전까지 최소한의 적절한 보안대책을 통해 관리될 필요가 있습니다.

 

모든 레거시 서버를 위한 보안관리

  1. 보안위협 분석 및 보안대책 마련을 위한 보안취약점 분석을 실시합니다.

  2. 레거시 시스템에 대한 위치와 운영환경을 조사합니다.

  3. 레거시 시스템이 관리하고 있는 데이터의 유형에 대해 조사합니다.

  4. 조사한 결과를 기반으로 레거시 시스템을 목록화 합니다.

  5. 데이터 및 시스템의 중요도에 따라 대체 가능한 우선순위를 정합니다.

  6. 각 서버와 응용서비스에 대한 담당자를 지정하여 관리합니다.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은 레거시 서버 보안관리

  1. 가능한 적용할 수 있는 최신의 보안패치를 진행합니다.

  2. 불필요한 응용프로그램 및 서비스 제거, 접근통제 정책 적용, 운영체제 업데이트 등을 통해 운영체제에 대한 보안을 강화합니다.

  3. 접근이 필요한 인원과 접근권한 및 등급을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조정합니다.  

  4. 현재 시스템을 지원할 수 있는 컴퓨터 백신을 설치하여 운영합니다.

  5. 가능하면, 파일 무결성 보호 솔루션이나 호스트 기반 F/W 또는 IPS/IDS등을 설치하여 운영합니다.

  6. 주기적으로 데이터 백업을 실시합니다.

 

인터넷이 연결된 레거시 서버 보안관리

  1. 즉시, 서버를 교체 합니다. 단기적인 교체가 불가능한 경우, 아래의 보안조치를 이행합니다.    

  2. 웹서버인 경우, 서비스의 특성을 반영한 적합한 웹방화벽을 설치합니다.

  3. 보관중인 데이터 및 접근경로에 대한 위험관리 평가를 실시하고, 민감한 데이터가 있는 경우 이전을 계획합니다.

  4. 주기적으로 취약점 진단을 실시하고, 취약점을 제거합니다.

5. 운영을 최소화하여, 발생할 수 있는 트래픽을 제한 합니다.   

 

원문: Updating Legacy Systems Amid Growing Cybersecurity Concerns

Posted by Cappuccino sapiens

보안 사각지대 POS 단말기 "암호화 절실"

코로나19로 급증한 원격·재택근무, 보안관리 실태는 어떨까

치매 환자 위해 만들어진 앱의 취약점, 환자들을 오히려 위험하게 해

[단독] ", , 이거 왜 이래?" 해킹 되는 전동 킥보드

코로나19에 따른 항공권 환불 관련 소비자주의보 발령

'틱톡'이어 '위챗' 때리는 美…불붙은 플랫폼 패권 전쟁

'KT 870만 고객정보유출' 파기환송심.. "손해배상 책임 없다"

국제 해커조직, 대한의학회 홈피 해킹···정보 유출 우려
영국계 거래소서 37억 상당 BTC 해킹 사건 발생

[상반기 악성코드 결산] 5~6월에는 재난지원금 사칭하고 무료SW 해킹... 보안 위협은 현재 진행형

[청소년기자단] 작년 사이버 범죄, 전년보다 20.7% 증가

Collecting Fingerprints From Facebook, Hacking Smartwatches And Fighting Covid-19

Posted by Cappuccino sapiens

전력, 행정, 금융 등 국가 기반시설이 정보통신기술을 도입함에 따라, 정보통신망 및 서비스에 대한 해킹, DDoS 공격 등 사이버공격에 노출되었으며, 국가기밀 정보를 비롯해 개인정보 등의 정보유출은 물론, 네트워크 지연 및 마비 등 지속적으로 피해가 발생하였습니다. 이러한 사이버공격은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피해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국가안보와 사회 안전에 중대한 위협을 미칠 우려가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시설을 보호하기 위해, 2001년「정보통신기반 보호법」을 제정하여 범정부적 대응체계를 구축하였습니다.

 

정보공유분석센터(ISAC, Information Sharing & Analysis Center)는 금융, 통신 등 분야별 정보통신 기반시설을 보호하기 위해 구축 및 운영을 장려하고 있습니다. 주요 역할로는 기반시설의 취약점 분석·평가 등 기술지원, 취약점 및 침해요인과 그 대응방안에 대한 정보제공, 침해사고 발생시 실시간 예·경보체계 운영 등이며, 세부 업무에 대해서는 기관별 특성에 따라 정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정보공유분석센터 구축시 15인 이상의 기술인력(5인 이상의 고급인력 포함)을 갖추고, 업무수행을 위한 시설과 장비, 정보보호 정책(시설보안, 인력보안, 문서보안 등)을 구비하여야 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현재 구축 및 운영 중인 정보공유분석센터는 정보통신 ISAC, 금융 ISAC, 행정 ISAC, 전력계통 ISAC 등이 있으며, 지난해 11월 의료 ISAC(Healthcare-ISAC or H-ISAC)이 개소하였습니다.

 

의료 ISAC의 설립은 의료기관 IT환경 변화에 따른 보안위협의 증가와 환자진료 기록, 진료비 결제정보, 증명서 발급에 따른 개인정보 등 대량의 환자정보에 대한 유출위험성에 따른 대응조치 입니다. 정부는 개인정보 점검/관리, 의료정보시스템의 보안기준 수립 등 의료기관에 대한 보안 컴플라이언스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 의료기관 92.1%, 병원급 이상 95.4%가 전자의무기록(EMR) 사용 (2015년 기준)

   - 환자 질병정보 저장시스템(OCS), 영상정보 전송시스템 (PACS) 등 의료 정보시스템 활용도 증가

 

의료 ISAC은 「의료법」에 명시된 의료기관 또는 의료기관 단체를 회원사로 하며, 주요 서비스는 보안관제, 정보공유, 침해대응, 교육 및 훈련 등 입니다.

  - 보안관제: 기관의 의료정보시스템, 네트워크 등 IT자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실시간 사이버 위협 모니터링 및 대응

  - 정보공유: 회원 간 사이버 위협정보를 신속·정확하게 공유하고, 회원의 원활한 정보보호 활동을 수행하는데 유용한 정보 제공

  - 챔해대응: 보안관제 중 침해사고가 현장조사, 자료수집·분석, 복구지원 등 기술지원

  - 보안교육: 매년 정보보호 교육 및 훈련 계획수립 및 체계적인 교육 및 모의훈련 프로그램 제공

 

참조: 의료기관 공동보안관제센터(https://www.hisac.or.kr/site/main/home)

Posted by Cappuccino sapiens

COVID-19과 향후 있을 이러한 팬데믹에 대비해, 기업은 비즈니스 영속성을 보장을 위해 클라우드 이전, 재택근무 등 다양한 업무변화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해커는 이러한 틈을 이용해 보안이 충분히 준비되기 전 기업의 보안헛점을 중점적으로 노리고 있습니다.

지난 1, 매일 3,100건 이상의 피싱과 위조 웹사이트 생성, 3월에는 8,300개를 초과

커뮤니케이션 및 협업 피싱 사이트 역시 1월 대비 3월에는 50% 증가

 

해커는 회사의 보안환경 보다 상대적으로 약한 재택근무자의 단말기, 오픈 네트워크, 응용프로그램, 이메일 피싱 등의 근무환경을 공격 포인트로 설정하고, 이를 통해 회사의 망에 접근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보안팀은 기존의 동일한 보안 리소스로 추가적인 업무에 대응함에 따라, 피로도가 쌓여가고 이는 조직의 보안을 약화시키게 됩니다.

 

팬데믹이 해제되고 기업이 정상적인 영업을 재개하게 되면, 빠르게 이러한 서비스를 정비하고 추가로 새로운 보안 솔루션을 도입하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기업은 여전히 또 다른 팬데믹에 대비한 언택트 환경을 유지하고, 이에 적합한 업무절차로 개선하려 할 것입니다.

 

따라서, 솔루션 도입시 기존과 같이 제안설명회, 제안발표, 제품시연 및 PoC, 기술전수 교육 등의 면대면의 방식은 지양하고 언택트 방식을 선호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러한 언택트 시대에 어떻게 복잡한 보안 솔루션을 선별하고 도입할 수 있을까요? 적합한 솔루션 도입을 위한 고려할 사항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정확성과 직관성을 핵심 기준으로 고려하여 솔루션을 평가합니다.  

회사의 IT환경을 충분히 고려하고 있으며, 그 가치를 보여주고 있는지 평가 합니다. 또한, 비용과 시간을 줄이기 위한 복잡성을 줄이고, 동작 및 운영이 직관적인지를 평가 합니다.

 

판매자와의 접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 합니다.

온라인 시연, 설치 및 운영 동영상, 디지털 교육 컨텐츠, 원격 교육·훈련, 클라우드 협업 툴 등을 이용함으로써 판매자와의 접촉을 최소화 합니다.

 

가상 실습환경을 제공하는지 검토 합니다.

조직환경에 적합한 가상의 운영환경을 제공하며, 원격에서도 현장감 있는 실습환경을 통해 충분히 기능을 다뤄 볼 수 있는지 검토합니다.

 

원문: Cybersecurity software sales and training in a no-touch world

원문에서는 고객사의 언택트 환경을 고려하여, 보안 벤더사의 판매전략에 대한 변화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고객사 입장에서 다시 풀어 서술하였습니다.  

Posted by Cappuccino sapiens

 [단독] 잇따른 자료 유출에... 국정원, 전 부처에 '보안강화' 지침

요즘 사이버 공격자들 사이에서 가장뜨거운’ 관심거리, 오피스 365

보안팀이 놓치기 쉬운 IPv6의 진실 7가지
내년 2월 마이데이터 '정보보호 대책' 나온다
코로나19 닮은사이버 팬데믹’ 시대 온다”

현대 다크웹 범죄자들 사이에서 거래되고 있는 계정 수는 무려 150

쌍둥이 목소리도 구별바이오인증, 공인인증서 대체할까
[CSRC@KAIST 차세대보안R&D리포트] 인공지능 시대의 개인정보와 프라이버시

코로나도 막을 수 없는 여름! 여행 산업의 트래픽 급증 중

혼다도 당했다윈도우 네트워크에서 랜섬웨어를 막는 방법
[데스크가 만났습니다]김영기 금융보안원장 "개방과 혁신, 보안의 초연결 춘풍추상의 각오로"

레드햇 2020 보안 자동화 온라인 세미나 개최

Posted by Cappuccino sapiens

쉐도우 IT는 조직에서 정상적인 허가없이 사용하는 IT 프로젝트, 응용프로그램,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조직의 보안통제내에 존재하지않는 쉐도우 IT는 조직의 보안에 중대한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쉐도우 IT가 증가하는 이유는 업무 효율성과 성과를 높이기 위해, 직원들 스스로에 적합한 기기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파일공유 앱, 협업 툴 등 더욱 다양한 쉐도우 IT를 사용하게 되며,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등 BYD또한 그 범주에 속해 있습니다.

 

다루는 정보의 중요성과 회사의 보안정책에 대해 이해도가 낮은 직원들의 경우, 그들이 다루는 쉐도우 IT에 회사정보는 물론 고객정보를 저장하게 되고, 장비 분실 또는 악성코드 감염 등의 보안사고로 인해 회사의 보안에 중대한 영향을 끼칠 수도 있습니다.

 

팬데믹 기간 동안 재택 및 원격근무 등 업무환경변화에 따라, 협업 및 자료공유 등 업무방식의 변화는 약 65%의 쉐도우 IT를 증가시켰으며, VPN, 화상회의 서비스, 정보공유 서비스 등의 사용 증가는 IT팀과 보안팀에 부담을 가중 시키고 있습니다. 따라서, 쉐도우IT를 적절히 통제하고 다룰 필요가 있습니다.

 

  - 사용하고자 하는 적절한 이유를 검토합니다. 승인되지 않은 툴을 무조전적으로 차단하기 보다는, 합당한 이유를 들어보고 적절하게 통할할 수 있는 방법을 찾거나 기존 툴로 대체 가능한지를 검토합니다.

 

  - 전 임직원의 보안에 대한 인식을 제고 합니다. 회사의 보안정책을 이해하고, 쉐도우 IT로 인한 보안위협에 대해 주기적인 교육을 실시합니다. 또한, 일방적인 쉐도우 IT에 대한 통제가 아닌, 직원들과 함께 적절한 통제방법과 절차를 만들어 임직원의 직접적인 참여도를 높이도록 합니다.

 

  - 승인되지 않는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를 조사하고 통제합니다. 개인의 취향에 맞는 모든 솔루션 도입시 IT 비용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임직원들과 충분한 소통을 통해 명확히 사용 가능한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를 규정하고, 그 외에 대상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통제할 필요가 있습니다.

 

  - 쉐도우 IT를 빠르게 조사하고 사용성을 검토합니다. 쉐도우 IT의 사용현황을 파악하는 것은 조직의 데이터 유출을 최소화하는 첫번째 단계 입니다. 임직원에게 현재 조직에서 사용 가능한 소프트웨어와 서비스가 무엇인지를 알리고 사용성을 높이는 것 또한 쉐도우 IT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라면, 쉐도우 IT와 비교하여 현실에 맞는 제품으로 대체할 수도 있습니다.

 

원문: Fix Shadow IT In Your Organization

Posted by Cappuccino sapiens

블로그 이미지
생각의 전환
Cappuccino sapiens

공지사항

Yesterday
Today
Total

달력

 « |  » 2025.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