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시사적 현안의 무기화

공격자들은 COVID-19 팬데믹과 같은 이슈를 이용해 사용자들의 관심을 유발하여 암호화 멀웨어를 다운받도록 유도합니다. 지난 6, 슬로바키아 보안회사인 ESET COVID-19 추적앱으로 위장한 CryCryptor를 발견했으며, 이 멀웨어는 안드로이드 폰의 파일을 암호화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고 밝혔습니다.

COVID-19은 랜섬웨어 공격 흐름에 변화를 주었습니다. 팬데믹 이전에는 일반기업 대비 헬스케어 회사를 대상으로 한 랜섬웨어 공격이 크게 증가하는 추세였으나, COVID-19 팬데믹 이후 공격이 감소하였으며, 어떤 랜섬웨어는 병원을 공격하지 않도록 설계된 것들도 있었습니다. 공격자들은 규모가 큰 병원이나 헬스케어 센터를 공격대상으로 삼을 수 있으며, 희생자가 데이터 복구의 시급성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비용지불을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5. 랜섬웨어 공격자들의 체포 수 증가

예전에는 개별적으로 암호화 멀웨어 공격을 시도하는 경우, 그럭저럭 정부당국의 감시를 회피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사법당국이 랜섬웨어와 같은 보안위협 인텔리전스 공유 및 대응체계를 강화함에 따라 랜섬웨어 공격자들에 대한 체포 건수가 증가하였습니다.

 

6. 딥페이크 랜섬웨어

트랜드마이크로에 따르면, 랜섬웨어 뿐만 아니라 딥페이크와 관련된 컴퓨터 범죄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Malwarebytes 역시 랜섬웨어와 딥페이크가 조합된딥페이크 랜섬웨어“ 공격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Malwarebytes는 저자이자 AI 전문가인 Paul Andrei Bricman와 함께 이러한 보안위협에 대한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그 중 한가지 가능성은 딥페이크 랜섬웨어 공격자가 웹사이트에 게시된 특정인물의 비디오로 가짜 비디오 생성하여, 돈을 지불하지 않으면 가짜 비디오를 공개하겠다고 협박할 수 있습니다.

다른 한가지 가능성은 공격자는 영상물과 랜섬웨어를 결합하여, 영상물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컴퓨터를 감염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공격은 2015년에 페이스북 사용자들을 유인하기 위해 제작된 “Hot Video“와 유사합니다.

Malwarebytes는 현재까지 실질적으로 이러한 공격이 발생한 사례를 없다고 밝혔지만, 이러한 공격이 발생할 경우 희생자의 명성에 치명적인 해를 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랜섬웨어 공격에 대한 대응전략

진행중인 공격을 탐지하는 것 만으로는 랜섬웨어 공격을 방어하기에 충분하지 않습니다. 다음은 추가적인 랜섬웨어 대응전략을 보여 줍니다.

 

1. 가시성 확보

IT환경에 대한 충분한 가시성을 확보하지 않으면 랜섬웨어 공격을 모니터링할 수 없습니다. 공격자들은 보안 취약점을 악용하여 끊임없이 시스템 접근권한 획득과 내부 네트워크로의 침투를 시도할 것입니다. 따라서, 자산관리시스템을 이용해 사용중인 모든 H/W S/W를 파악하고, 인공지능이 결합된 네트워크 모니터링 솔루션을 통해 내부 네트워크에서 활동 중인 랜섬웨어와 같은 공격들을 감시합니다.

 

2. 보안인식 제고

많은 랜섬웨어 공격들은 사회공학기법을 이용한 피싱공격이나 IT 운영 실수를 악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임직원들에게 다른 사회공학 기술과 피싱공격에 대한 사례전파 및 모의훈련 등의 보안교육을 함으로써 이러한 보안위협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3. 강력한 보안통제 구현

잘 훈련된 경우라도, 이메일이 정상적이라고 판단하여 피싱공격에 당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은 의심스러운 링크나 악성 도메인과 같은 보안위협을 자동으로 탐지하고 차단할 수 있는 스팸 방지 솔루션을 도입합니다. 또한, 절차적·관리적 접근통제를 수립하고 내재화하여 강력한 보안통제를 구현합니다.

 

4. 침해사고 대응계획 수립

랜섬웨어 공격자들은 기업의 방어막을 뚫기 위해 끊임없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보안헛점의 기회를 엿보며 공격할 것입니다. 따라서,  보안사고에 대응할 수 있는 전문조직을 구성하고, 보안역량을 강화해야 합니다. 또한, 침해사고 대응계획을 수립하고 정기적인 운영 및 점검을 통해 보안사고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원문: 6 Ransomware Trends You Should Watch for in 2020

Posted by Cappuccino sapiens

해커, 'DoH' 악용해 데이터 훔쳤다

인공지능 도구들 오픈소스로 풀리는 바람에 딥페이크 위협이 코앞

[CSRC@KAIST 차세대보안R&D리포트] 퍼징과 인공지능

다크웹에 VPN 계정정보 수천 건 유출…韓기업도 포함

"보안 전문가 키우고 싶으면 형사처벌 없애라"

캐논 서버 랜섬웨어 해킹, 10TB 데이터 탈취?

트위터 "보안 취약성으로 안드로이드용 앱 업데이트"

[의료 정보보호] 박종환 삼성서울병원 CISO “상시 보안점검 이외 테마점검 필요”

[의료 정보보호] 류기청 국립암센터 정보보호팀장코로나19 시대, 의료기관 보안위협 증가”

중국 데이터 안전법 초안의 공표와 시사점

Capital One fined $80 million for 2019 hack of 100 million credit card applications

Posted by Cappuccino sapiens

랜섬웨어 공격은 불법적으로 기업의 네트워크에 침입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이를 볼모로 금전적인 이득을 취할 목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기업의 데이터 손실 및 유실 뿐만 아니라 금전적으로도 상당히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습니다.

미국의 디지털 보안 및 데이터복구 회사인 Datto는 랜섬웨어로 인해 발생한 서비스 정지 등에 따른 기업의 피해는 년간 75백억달러( 89천억원)에 달한다고 합니다. 그 외의 자료에 따르면, 랜섬웨어로 인해 기업은 시간당 평균 8 5백달러의 손실(Govtech 조사결과), 크립토 멀웨어 사고당 65.645백달러의 비용손실이 발생한다(Coveware조사결과)고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최근 스마트 기기 제조사인 가민은 랜섬웨어 공격을 당했으며, 8 5, 데이터 복구조건으로 해커에게 1천만 달러를 지불했다고 밝혔습니다.

랜섬웨어 공격은 새로운 상품개발을 저해하고 금전적인 피해로 인해 기업운영에 막대한 차질을 가져오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은 이러한 랜섬웨어 공격을 잘 이해하고 대응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선적으로 최근에 발생한 랜섬웨어 공격을 통해 변화된 공격패턴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기서는 2020년에 발생한 랜섬웨어 공격을 통해 6가지 주요 공격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대응방안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합니다.

 

1. 데이터 탈취 및 공개 협박

최근 몇 년까지만 해도 데이터 백업은 랜섬웨어 공격자의 데이터 랜섬을 묵살하고, 추가 비용없이 데이터를 복구함으로써 빠르게 서비스를 정상화하는 랜섬웨어 공격 대응기법 중 하나였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와서는 데이터백업만으로는 랜섬웨어에 대한 공격에 대응할 수 없는 사건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2019 11, 컴퓨터 장애를 해결해주는 Bleeping Computer의 웹사이트에 2십만명 이상의 직원을 보유한 보안인력회사의 네트워크에 Maze 랜섬웨어 공격이 발생했다는 글이 올라왔습니다. 공격자는 해당회사의 데이터를 암호화하기전에 외부 서버에 복사하고, 돈을 지불하지 않으면 데이터를 온라인에 공개하겠다고 협박하였습니다. 이러한 공격수법은 기존의 데이터 백업을 통한 복구를 무색하게 하였습니다.

이후 다른 랜섬웨어 역시 데이터 백업을 우회하고 랜섬을 거부하는 희생자를 협박하는 방식으로 진화를 해오고 있습니다. 이들 멀웨어 갱단들은 Maze의 데이터 유출과 데이터 공개 협박이라는 방식을 따랐으며, 올해 3월과 4월에 미국의 제조사와 헬스케어 회사를 공격할 때 이와 같은 수법을 사용했습니다.

 

2. 서로 다른 랜섬웨어와의 협업 증가

Maze는 암호화 멀웨어를 통해 이익을 극대화했다고 할 수 있을 정도는 아니었습니다. 랜섬웨어 군들은  몇몇의 변종들이 컴플라이언스를 준수하지 않는 기업의 데이터를 유출하고 위협하는 방식으로 진화했습니다. 2020 6월 초 Bleeping Computer에 따르면, 보안회사인 KeLa는 한 건축회사의 데이터가 ”Maze News” 데이터 유출 웹사이트에 추가된 것을 발견하였으며, 훔친 데이터는 Maze의 공격에 의한 것이 아닌, LockBit RaaS (Ransomware-as-a-service) 플랫폼에 의해 감염된 데이터라고 전했습니다. 공격자들은 데이터 유출 플랫폼을 공유하고 덜 완성된 랜섬웨어 실행자들의 경험을 얻기 위해 LockBit와의 협업을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3. 다른 유형의 멀웨어와 공조

랜섬웨어와 다른 형태의 멀웨어간의 공조는 탐지를 더욱 어렵게 하고 공격의 성공률을 높이게 됩니다. 이러한 공격형태는 2020년 상반기에 나타났습니다. 지난 3, Bleeping Computer는 윈도우 시스템 성능향상 유틸리티를 다운받을 수 있는 포털을 통해 멀웨어가 유포되고 있음을 발견하였습니다. 일단 프로그램을 다운받으면 ”file2.exe” 파일과 함께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coronavirus ransomware” 파일이 자동으로 다운로드 됩니다. 이 멀웨어는 ”file1.exe”파일과 함께 패스워드 유출 멀웨어를 배포하는 Kpot이라는 멀웨어에 랜섬웨어 멀웨어를 추가한 것으로, 감염된 컴퓨터로 부터 데이터를 훔친 후, 공격자가 미리 장악한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2020 5, 보안솔루션 회사인 Group-IB PwndLocker랜섬웨어군의 후속 버전인 ProLock를 발견하였습니다. 이 공격은 두 종류의 초기 접근 벡터 중 한나를 선택하고, 공격 대상의 RDP(Remote Desktop Protocol) 서버에 접근하기 위해 약한 인증정보를 공격하였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Qakbot를 문서에 심어 보내기도 했으며, 이후 프로세스 인젝션 기술을 실행하거나 .BMP 또는 .JPG파일에 숨겨진 ProLock 페이로드를 불러오기 위해 explorer.exe를 사용하는 등 다양한 전술을 시도했습니다.

 

원문: 6 Ransomware Trends You Should Watch for in 2020

Posted by Cappuccino sapiens

보안 취약한 재택근무 해커들 주요 먹잇감됐다

미 보안업체북 해커, 합법 프로그램 이용해 기밀 빼내”

'공격측엔 신무기, 이용측엔 구멍'··· 드론이 기업 보안에 끼치는 영향
이란 해킹그룹, DoH를 정보유출 채널로 사용해 탐지 무력화시켜

구글, 2020 8월 정기 안드로이드 패치 발표

마스크 사기·WHO 사칭…코로나發 피싱메일 하루 1600

`확진자 동선` 문구에 혹해서 눌렀다간…

"블록체인 활용한 러시아 국민투표가 해킹됐다"

[차세대 보안 비전 설문조사] “클라우드 보안 투자 의지 높다”

[카드뉴스] ‘데이터3법’ 개인정보보호페어에서 마스터하기

[시큐리티] IT기술·보안능력 갖춘 신흥강자의 부각

현금 없는 사회(캐시리스 사회)'가 이상적이지 않은 이유 4가지

한국IBM, ‘IBM 클라우더스(IBM C:LOUDERs)’ 실시

Sensitive credentials of 900 enterprises leaked on hacking forum

Posted by Cappuccino sapiens

암호화(Encryption)는 정보보호의 핵심요소 기술로, 이메일, 메시지, 영상, 음성 등 거의 모든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데이터는 DB, 클라우드, 기기 등 다양한 매체에 산재되어 있으며, 일반 데이터와 중요하고 민감한 데이터가 섞여있어, 관리 부주의 및 데이터 침해로 이한 유출 사고의 발생빈도가 높습니다. 데이터 침해사고는 기업의 중요 데이터와 민감한 고객정보 등을 유출시킴으로써, 기업의 비용손실은 물론, 신뢰도 저하 및 고객 이탈, 그리고 법적인 문제에 휘말릴 수 있습니다.

 

중요한 데이터를 다루는 기업은 당연히 암호화를 통해 데이터를 보호할 것입니다. 하지만, 2019년도 PonemonGlobal Encryption Trends Study”에 따르면, 암호화 전략을 채택한 기업은 45% 정도에 지나지 않습니다. 올바른 암호화 전략은 암호화를 통한 데이터 보호 뿐만 아니라, 컴플라이언스 준수에도 도움이 됩니다.

 

암호화 전략

최근 Forrester의 연구에 따르면, 데이터와 분석 기반의 비즈니스는 전세계 GDP 보다 최소 7배 빠른 성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데이터의 수집·분석·가공·분배를 통한 경제적 가치는 그만큼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데이터 생명주기에 의한 경제적 가치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데이터의 안전성이 전제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민감한 데이터를 다루는 기업은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기술을 적용하고, 규제당국이 요구하는 컴플라이언스를 준수함으로써 책임을 다할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만, 보안 전문가들은 아직까지도 많은 기업들이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충분한 기술과 역량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일반적인 보안전략 수립은 잘 하고 있으나 데이터 암호화 전략 수립에 있어서는 이해도가 부족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데이터 암호화 전략은 민감정보를 포함한 중요 데이터 암호화, 강력한 접근제어 구현, 암호화 키의 안전한 관리 등의 기술적인 부분과 데이터 보호를 위한 컴플라이언스 준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보호

데이터 암호화는 침해사고로 인한 데이터 유출시에 최후의 수단으로서 데이터를 무용지물로 만들어 버리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데이터 보호의 시작은 데이터가 어디에 있는지 파악하고, 보호 할 데이터를 식별하는 것입니다. 고객 및 재무정보와 같은 데이터는 식별이 용이하지만, 일부 데이터는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지난 10년간 개인정보 및 민감정보에 대한 많은 변화를 겪으면서 많은 기업들이 여전히 데이터 식별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민감한 데이터를 식별한 이후, 데이터의 안전한 암호화 및 관리방안에 따라 암호화 전략을 실행합니다.

- 암호화 키는 안전한 장소에 데이터와 분리하여 저장

- 각 산업 분야별 적합한 키 교체 모범 사례를 반영한 주기적인 암호화 키 교체

- 디바이스 데이터 보호를 위해 하드웨어 기반 Self-Encryption 기법 적용

- 세부적인 데이터 접근 및 삭제를 위해, 매체, 파일, 데이터베이스간의 계층적 암호화

- 외부와 공유되는 개인정보를 익명화하기 위해 데이터 마스킹 및 토큰화 기술 사용

 

데이터 암호화 외에 데이터 접근제어와 모니터링을 통해 권한이 부여된 특권 사용자에게만 접근을 허용하며, 데이터에 대한 빠르고 안정적인 접근을 보장합니다.

 

보안위협 대응을 위한 암호화

대부분의 보안전문가들은 데이터 침해사고와 랜섬웨어 등의 보안위협에 대해 인지하고 있으며, 기업의 최우선 과제 역시 이러한 보안위협을 차단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이러한 공격들은 유효하며,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랜섬웨어 공격과 데이터 침해사고를 막기 위해, 기업은 많은 투자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끊임없이 취약점을 연구하고, 호시탐탐 운영 실수 및 오류 등의 공격기회를 노리는 해커들의 공격을 100% 막는 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운 일입니다.

 

데이터 침해사고를 완벽하게 차단하지 못하는 것에 회의적일 필요는 없습니다. 보호하려는 데이터를 암호화함으로써 침해사고 발생시 데이터를 무의미하게 만든다면, 그러한 보안위협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충분할 것입니다. , 암호화는 클라우드 및 온프레미스 환경에 산재한 데이터를 내·외부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하며, 민감한 고객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지킬 수 있는 필수 불가결한 선택입니다.

 

컴플라이언스 준수를 위한 암호화

국가와 정부 그리고 산업 컨소시엄이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을 인식함에 따라, GDPR(Glob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CCPA(California Consumer Protection Act), ISMS-P(Information and Privacy Security Management System), PIA(Privacy Impact Accessment) 등과 같은 컴플라이언스를 제정하고 있으며, 지키지 않을 경우 무거운 벌금을 부과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업의 입장에서는 어떤 데이터가 어떤 컴플라이언스에 저촉되는지, 침해사고시 신고조항이나 규제 미준수에 따른 법적책임 등에 대한 요건들은 전부 이해하고 준수 하기란 만만치 않은 일입니다.

 

암호화는 여러 보안 컴플라이언스에 대한 미준수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중요하고 민감한 데이터가 도난 당했을 경우, 데이터를 무용지물로 만듦으로써, 데이터 보호라는 컴플라이언스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협력사 또는 지사와의 데이터 공유시 민감한 데이터의 마스킹 처리 또는 토큰화 등과 같은 방법을 통해 컴플라이언스 요건을 준수할 필요가 있습니다.

 

맺음 말

암호화 전략을 수립하고 적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파악하고 민감한 데이터를 식별하며, 데이터의 규모나 중요성에 따라 적정한 암호화 솔루션을 도입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보호법, 의료법 등 많은 법적인 요구사항 분석을 통해, 조직과 비즈니스에 적합한 최적의 보안정책 수립과 운영이 동반되어야 합니다.

 

원문: Encryption: Protect your most critical data

 

Posted by Cappuccino sapiens

 국방과 우주항공 산업 노리던이력서’ 공격, 북한일 가능성 높아

별지 제31호서식’ 한글파일 열면 악성파일에 감염된다

국제 랜섬웨어 일당, 코로나19 악용해 비트코인 300억원 챙겨…‘전세계 주요 정부기관과 공공기관 침투’

[차세대 보안 비전 2020] “코로나로 업무환경 변화…클라우드 집중”

"영국 장관, 러시아 해커들에 국가기밀 털렸다"

[원격근무 보안 리포트]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기업의 보안 필수템문서암호화·문서중앙화’

트위터, ‘개인정보 오용’ 미정부 조사받아…”3천억원 물 수도”

신용정보법 개정안 시행으로 달라지는 것

데이터 3법’ 마침내 시행…동의없는 개인정보 이용·가명정보 결합 방법은

국가 개인정보 보호 최고기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출범… 과제는?

융·복합 CCTV로 범죄와 재난 촘촘히 막는다

기고 | 이제는 CIO S·M·A·R·T 해져야 할 시점
[기고] 포스트코로나, 데이터로 대비하라

[기고] 의료 빅데이터 활용 규제개선과 데이터 3

Garmin Pays $10 Million Ransom Fee After Hacking Attack

Posted by Cappuccino sapiens

블로그 이미지
생각의 전환
Cappuccino sapiens

공지사항

Yesterday
Today
Total

달력

 « |  » 2025.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